![]() |
25일 구미 도량동 주민과 경주 최씨·전주 이씨·성산이씨·벽진 이씨 문중 관계자들이 구미시청 앞에서 꽃동산공원 조성 반대 집회를 열고 있다. |
내달 1일부터 적용되는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일몰제를 앞두고 경북 구미시는 시민의 발길이 뜸한 중앙공원은 직접 개발 하지만, 주민이 반대하는 꽃동산공원은 민간개발을 추진하는 편파적 행정이 도마 위에 올랐다.
구미시는 지난 23일 민간개발 사업으로 추진하던 형곡·송정동 중앙공원 조성사업을 직접 추진한다(영남일보 6월 24일자 8면 보도)고 발표했다.
오는 2024년까지 총사업비 55억원을 들여 중앙공원 61만5천㎡ 중 난개발이 우려되는 사유지 1만㎥와 국·공유지를 포함한 26만7천㎡를 도시공원으로 직접 조성한다는 것이다. 이곳엔 산림체험로·체육시설·전망대·광장 등이 들어선다.
반면, 구미시는 3천여명으로 구성된 구미시 도량동 파크맨션 입주자대표회의, 구미경실련, 경주최씨·전주이씨·성산이씨·벽진이씨 문중 회원이 5개월째 반대하는 꽃동산공원은 민간공원으로 개발을 허가를 한 것이나 다름없는 상황이다. 시는 늦어도 7월 초에는 대구지방환경청의 환경영향평가 결과에 따라 민간개발을 허가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지난 1월부터 △꽃동산 민간개발 반대 구미시청 앞 1인 시위 △구미시청 1층 로비 연좌시위 △대구지방환경청 꽃동산공원 환경영향평가 부(不)동의 촉구 호소문 전달 집회 △장세용 구미시장 규탄 집회 △환경영향평가에 조건부로 동의한 대구지방환경청의 꼼수 저지 거리 시위 △소롯골 촛불문화제 △꽃동산공원 환경평가 조건부 동의 꼼수 총력저지 연속 집회를 꾸준히 열고 있다. 25일엔 구미시청 앞에서 '꽃동산 민간공원 조성 결사반대' 집회를 하기도 했다,
현재 꽃동산공원 부지 48만8천㎡ 중 12만㎡(25%)를 소유하고 있는 경주 최씨 문중은 민간공원 개발을 취소할 경우 구미시민에게 소유 부지를 영구 무상 임대하겠다는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한 상태다.
한편, 구미 꽃동산공원은 9천731억원을 들여 임야 75만㎡ 중 48만8천여㎡에 공원을 만들고, 20만여㎡에는 2천980가구 규모의 아파트를 비롯해 학교·경관녹지·도로 등을 건설하는 민간사업이다.
신철균 파크맨션 입주자대표회의 사무국장은 "18층인 파크맨션과 불과 수십m 떨어진 임야에 40층 규모의 아파트 3천여 가구를 건설하면 조망·일조권을 잃고 교통체증·난개발·아파트값 하락 피해가 발생한다"면서 "형평성을 잃은 행정을 바로잡고 주민 생존권과 생활권 방어를 위해 끝까지 반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사진=백종현기자 baekjh@yeongnam.com

백종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