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추락하는 구미경제, 복원할 방책 강구해야

  • 인터넷뉴스부
  • |
  • 입력 2019-07-16   |  발행일 2019-07-16 제31면   |  수정 2019-07-16

구미 경제의 하강세가 예사롭지 않다. 중소기업 가동률이 최저치로 떨어지고 근로자마저 구미를 떠나고 있다. 구미산업단지의 올 1분기 가동률은 겨우 65.9%, 80%를 넘었던 2014년에 비하면 격세지감이다. 특히 종업원 50인 미만 중소기업 가동률은 지난 4월 32.2%에 불과했다. 구미 제조업의 위기상황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대목이다. 50인 미만 중소업체는 구미 기업 수의 88%를 차지한다. 이들 업체의 가동률이 구미경제의 실상을 가늠하는 바로미터라는 얘기다. 구미경제가 침체에 빠지자 외국인 근로자들도 짐을 싸고 있다고 한다. 지난 6월말 구미시 체류 외국인은 5천84명으로 2014년 6천146명에 비해 17%나 줄었다.

그나마 최근 구미산단 5단지(하이테크 밸리)의 분양률이 높아지고 ‘구미형 일자리 사업’이 확정된 건 고무적이다. 특히 구미형 일자리 사업은 대기업 유치 물꼬를 텄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구미형 일자리 사업 1호는 LG화학의 전기차 배터리 부품 생산으로, 이르면 내년 말 생산라인이 완공될 예정이다. 다만 일자리 창출 규모는 1천명 남짓이다. 구미경제 부활을 견인하기엔 턱없이 미흡하다. 구미형 일자리 사업을 확산시켜 나가야 하는 이유다. 가능하다면 확장성이 크고 구미 전자산업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비메모리반도체 분야에 욕심을 내볼 만하다.

1969년 국내 최초로 조성된 구미산업단지는 ‘수출입국’의 꿈과 제조업 중흥 야심이 집대성된 현장이다. 1999년엔 단일 공단 최초로 100억달러 수출을 달성하는 개가를 올렸다. 명실공히 우리나라 수출산업의 전초기지이자 제조업 메카였다. 하지만 삼성·LG 등 대기업이 연구시설과 생산라인을 수도권이나 해외로 이전하면서 나락으로 떨어졌다.

수도권은 구미와 대조적이다. SK하이닉스 반도체 클러스터는 경기도 용인에 조성되고, 지난해 발표한 삼성전자의 150조원 투자계획이 이루어지는 곳도 죄다 수도권 아니면 해외다. 이러니 구미 같은 지방산업단지는 견뎌낼 재간이 없다. 이제라도 정부는 지지부진한 균형발전 정책의 고삐를 바짝 죄어야 한다. 기업의 지방투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지방형 일자리 사업’에도 재정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양질의 민간 일자리 창출이라면 재정을 아낄 이유가 없다. 구미경제 복원은 문재인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시금석이기도 하다. 구미를 살릴 다양한 방책을 강구해주기 바란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