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시대, 2026년까지 일자리 60만개 창출”

  • 손선우
  • |
  • 입력 2019-04-09 07:40  |  수정 2019-04-09 07:40  |  발행일 2019-04-09 제17면
5개 서비스와 10개 산업 분야
정부, 5G+ 전략산업으로 선정
생산 180조·수출 83조원 목표
“5G 시대, 2026년까지 일자리 60만개 창출”
문재인 대통령이 8일 오전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K-아트홀에서 열린 ‘세계 최초 5G 상용화, 대한민국이 시작합니다’ 행사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5G(5세대) 이동통신 시대를 맞아 스마트공장·자율주행차 등 5개 서비스와 차세대 스마트폰·로봇·드론 등 10개 산업 분야를 ‘5G+(플러스) 전략산업’으로 지정했다. 또 이들 전략산업을 육성해 2026년 일자리 60만개를 창출하고 생산액 180조원·수출액 730억달러(약 83조원)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10개 관계부처는 8일 올림픽공원에서 ‘코리안 5G 테크-콘서트’(KOREAN 5G Tech-Concert)를 열어 이런 내용의 ‘5G+ 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지난 3일 우리나라가 5G 상용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시작했다"며 “5G 기반의 신(新)산업과 신서비스를 육성하기 위해 이번 전략을 수립했다"고 배경을 밝혔다.

정부는 △실감콘텐츠 △스마트공장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디지털 헬스케어 등 5개 분야를 5G 시대 ‘5대 핵심서비스’로 정하고, 이들 서비스의 확산을 위한 ‘빅 프로젝트’를 2025년까지 추진한다. 빅 프로젝트는 분야별 ‘킬러서비스’를 실증하는 단계와 서비스를 보급·확산하는 단계로 나뉜다.

정부는 이 프로젝트를 확산하고 이후 산업화를 추진할 수 있는 ‘5G+ 이노베이션센터’도 2021년까지 상암과 판교 등에 구축할 예정이다. 정부는 5대 핵심서비스와 함께 △차세대 스마트폰 △네트워크 장비 △에지컴퓨팅 △정보보안 △V2X(차량통신기술) △로봇 △드론 △지능형 CCTV △웨어러블 디바이스 △AR·VR 디바이스 등을 ‘10대 핵심산업’으로 선정했다. 핵심서비스와 핵심산업을 합쳐 ‘5G+ 전략산업’으로 묶었다.

이들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마중물을 마련하는 방안도 이번 전략에 포함됐다. 2020년까지 로봇과 CCTV를 활용해 도로·항만·공항 등에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한다는 게 대표 사례다.

5G 기반의 원전해체 기술 개발, 재난지역 모니터링, 실종자 수색 등에 활용할 드론 기술 실증 등의 사업도 계획됐다. 한류 콘텐츠 확산을 위한 VR·AR 콘텐츠 제작·유통을 지원하고 국립박물관 네 곳에 문화유산 실감 체험관도 구축할 예정이다.

민간투자 확대를 위한 지원도 추진된다. 5G 전국망 조기 구축을 위해 내년까지 통신사에 망투자 세액을 2∼3% 공제해준다. 내년 이동통신 연구·개발(R&D) 예산 중 35%를 중소기업의 5G 장비 기술사업화 R&D에 투자하고, 2022년까지 제조공정 혁신을 위한 ‘5G-팩토리’ 솔루션을 중소·중견기업 공장 총 1천곳에 보급할 예정이다. 5G 기업의 해외 진출도 정부가 지원키로 했다.

이런 5G 생태계 구축을 위해 2023년까지 정부와 민간이 투자하는 금액은 30조원이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손선우기자 sunwoo@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