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대구시청, 현 위치에 신청사 건립을

  • 뉴미디어부
  • |
  • 입력 2019-01-10 00:00  |  수정 2019-01-10
20190110

 대구시청은 1910년 대구부가 현 중구 동인동1가에 설치된 이래 지금까지 100년 넘게 이어져 온 대구시의  역사이자 대구시민의 자긍심이다. 지역을 넘어 세계적으로 대구라는 도시를 상징하고 있으며 이는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
 

시청이 있는 대구 중구는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근대로의 여행'을 중심으로 한국관광 100선에 선정되는 등 관광객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걸어서 시내를 관광하는 골목투어는 시청주변에서 모두 이루어진다. 이는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2·28기념공원, 경상감영, 대구의 대표적 문화유산인 달성토성, 대구읍성상징 동성로, 2019년 100주년을 맞는 3·1만세운동길 등 대구의 유구한 역사와 정체성을 느낄 수 있는 역사적 자원들이 대구의 중심에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도시철도역과 대중교통이 밀집되어 있어 편리하고 접근성이 가장 용이해 대구의 행정·금융·유통·문화·예술의 중심지로 대구시민 모두에게 사랑받고 있다. 따라서 과거, 현재, 미래가 하나로 통합되는 최적의 입지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는 현 위치에 대구시청 신청사가 건립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인구감소, 도심공동화 현상, 시 외곽 대중교통 유지비용 증가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덜란드,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새로운 도시모델로 콤팩트시티(압축도시)를 지향하고 있으며, 우리정부도 도심 고밀개발과 도시재생 등을 통해 콤팩트시티를 만드는 쪽으로 도시발전 전략을 바꾼 상태이다.
 

문재인 정부에서도 역사를 간직한 구도심의 중심기능을 되살려 혁신거점으로 조성하고, 도심활성화 효과를 주변지역으로 파급시켜 지역의 경쟁력을 회복하는 도심재생 뉴딜사업을 국책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 동안 대도시 중심부의 도심공동화 현상은 미래도시에 대한 고민 없이 외곽개발을 함으로써 부작용을 초래했고, 이는 도시의 중첩된 기억을 통한 역사성, 정체성을 포기하는 결과로 이어졌으며, 이에 대한 반성으로 다시 도심 뿌리 찾기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가까운 부산도 도심재생 뉴딜사업 관련 브리핑에서 부산을 원도심 중심으로 탈바꿈시켜 도시발전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며 새 정부의 도시재생 기조와 궤를 같이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대구시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뒤로 하고, 도심공동화를 치유해야 할 시점에 공동화를 부채질 할 수 있는 시청이전을 계획하는 것은 중구만의 손실이 아니라 대구시 전체의 상실로 연결될 것이 뻔하다.
 

지난 1월 1일자로 시청 건립을 위한 조례를 공포하고 대구 구군으로부터 건립 후보지를 신청 받아 시민참여단의 평가와 투표를 통해 올해 연말까지 대구시청 신청사 부지를 결정하겠다고 하는데, 이는 시청을 경북도청 후적지로 이전하기 위한 명분 쌓기에 불과한 것임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단언컨대 경북도청 후적지는 융합형도시를 건설할 수 있는 대구의 마지막 부지로 침체된 대구경제를 살릴 수 있는 특별한 공간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국토연구원에서 진행한 경북도청 이전부지 활용방안 연구결과에서도 도청이전부지는 지역사회 및 경제발전 기여를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시민이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21세기 세계의 대도시들은 도시의 균형발전 못지않게 도심재창조를 통해 사람이 모여들게 하고 있다. 역사의 뿌리를 흔들고 원도심을 비우는 것은 시대의 흐름을 역행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 대구도 현 위치에 신청사를 건립함으로써 시청이 대구의 랜드마크로, 관광1번지로, '대구'하면 떠오르는 역사적 상징물로 거듭나길 바란다.

박창용<대구시청 현 위치 건립추진위원장>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