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적심사” “희생 감수” “차후 복귀”…3色 반응

  • 권혁식
  • |
  • 입력 2018-12-17   |  발행일 2018-12-17 제3면   |  수정 2018-12-17
한국당 당협위원장 물갈이 대상자 발표
“표적심사” “희생 감수” “차후 복귀”…3色 반응

자유한국당이 국회의원 21명의 당협위원장 교체를 발표한 다음날인 16일 친박계(親박근혜) 의원을 중심으로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번 결정이 자의적 기준에 따른 것이어서 수용할 수 없다며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또 이번 주 소집 가능성이 거론되는 의원총회에서 공개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거나 지도부에 소명하겠다는 입장이다. 반면 김용태 의원 등 일부 의원은 당 개혁을 위해 조강특위 결정을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곽상도·정종섭 등 친박계 중심 강력반발
김용태·원유철·윤상현은 결정수용 입장
이은재 “새 대표 선출 후 자리 되찾을 것”
당 안팎 “탈당사태로 이어지지는 않을 듯”
“계파 해체 vs 갈등 촉발” 상반된 진단도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과 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는 재심청구 절차 없이 곧바로 교체 대상 당협위원장 신청을 받겠다며 ‘정면돌파’를 예고했다.

이번 당협위원장 교체 명단에는 친박계 의원 12명, 비박계 의원 9명이 각각 포함됐다.

‘최순실 국정농단’을 이유로 당협위원장 교체 대상에 이름을 올린 곽상도 의원(대구 중구-남구)은 영남일보와의 통화에서 “이번 결정에 납득할 만한 기준이나 원칙이 없다. 표적심사”라며 “어려운 여건에서도 무너진 당을 바로 세우고자 노력해왔지만 전 정부 초대 민정수석을 지냈다는 이유로 불공정하게 자격을 박탈당했기 때문에 이번 조치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했다. 그는 “지역 민심과도 동떨어진 오판”이라며 “열악한 주거·교통·교육 환경을 개선해 좋은 동네로 거듭나도록 노력을 해왔고, 그 결과 지난 지방선거에서도 지역구에서 한국당 후보가 모두 당선됐다. 특히 당무감사에서도 좋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안다”고 부연했다. 특히 그는 “국회 상임위 활동을 포함해 12번의 인사청문위원회에서도 문재인정부 폭주 저지에 나섰다”고 자신의 역할을 강조했다.

정종섭 의원(대구 동구갑)은 “소이부답(笑而不答·웃기만하고 대꾸하지 않다) 외에는 할 말이 없다”며 이번 결정이 부당하다고 강조했다. 김재원(상주-군위-의성-청송)도 “입장이 없다”는 말로 이번 결정에 대한 반발을 대신했다.

‘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을 이유로 탈락한 비박계 중진 홍문표 의원은 “이게 무슨 장난이고 주먹구구식인가. 어이가 없다. 선거패배 책임을 들었는데 다른 지도부에게는 왜 책임을 묻지 않나"라며 “지도부를 만나 소명을 해보고, (소명 절차가) 없다고 하면 내가 할 수 있는 강력한 대응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3선의 권성동 의원도 “기준도 없고 원칙도 없는 결정으로, 내가 법사위원장이라 탄핵소추위원을 맡은 것을 갖고 분당 책임을 물은 것 같은데 말이 안 되는 소리”라고 반발했다. 이어 “의원에게 당협위원장을 뺏는 중징계를 해놓고 이의신청이나 재심 절차도 없다”며 “정당을 이런 식으로 운영해서 되겠나”라고 비판했다.

일부는 결정을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조강특위 위원장이면서 스스로 당협위원장에서 내려 온 김용태 사무총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당의 결정으로 당협위원장 지위를 상실했다. 전적으로 수용할 수밖에 없다”며 “양천 지역을 떠난다”는 글을 남겼다.

‘공천 파문’을 이유로 탈락한 원유철 의원은 “선당후사의 간절한 심정으로 당의 결정을 겸허히 받아들인다”고 말했고, 윤상현 의원은 “이번에 세 번째 정치적 책임을 요구받았는데, 할 말이 많지만 말을 아끼겠다”며 “당이 다시 새롭게 태어나고 총선에서 승리할 수만 있다면 어떤 희생이라도 받아들이겠다”고 페이스북을 통해 입장을 밝혔다.

내년 2월 전당대회를 통해 새로운 지도부가 선출된 후 이번 결정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당협위원장 자리를 되찾겠다는 의원도 있었다.

‘기득권 안주’를 사유로 배제된 이은재 의원은 “내가 재판 중이거나 당에 피해를 끼쳤나. 보여주기를 위해 강남을 다 쳤는데, 외부 사람들이 당내 사정도 모르고 원칙과 기준 없이 내린 결정”이라며 “당 대표가 새로 선출되면 이번에 당한 사람들이 당 대표에게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당 지도부는 탈락자들의 반발과 무관하게 인적 쇄신 작업을 흔들림 없이 마무리하겠다는 방침이다.

한 조강특위 관계자는 “재심신청은 따로 없다”면서 “당헌·당규상 조직위원장 선임 절차가 종료됐으므로 교체지역에 대해 공모를 통해 새 당협위원장을 선정하는 절차로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당 안팎에서는 이번 당협위원장 교체가 탈당 사태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는 관측이 우세하다. 한때 친박 의원을 중심으로 한 탈당·신당 창당설이 거론되기도 했지만, 교체 비율을 볼 때 친박과 비박이 비슷한 수준에서 탈락했기 때문에 탈당이나 창당의 명분을 내세우기가 쉽지 않다.

또 2월 전당대회 후 차기 지도부가 이번 결정을 일부 수정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당분간 이탈을 막는 역할을 할 것으로 관측된다.

비박계 한 의원은 “‘완장’을 찼다고 칼질하는 사람과 대화가 되겠나”라며 “다음 지도부가 들어오면 새로운 판단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향후 한국당의 ‘물갈이’가 당내 계파를 해체하는 계기가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오지만, 이와 반대로 갈등을 촉발할 것이란 진단도 나온다. 당장 바른미래당의 일부 의원들이 한국당에 복당할 경우, ‘분당 사태’ 책임을 물은 조강특위의 결정과 형평에 맞지 않는다는 문제가 불거질 수 있기 때문이다.

내년 초 새 지도부를 선출하는 전당대회에서도 계파 갈등이 재점화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편, 최경환 의원의 지역구인 ‘경산’은 전국 10개 공동 공모지역으로 지정돼 직전 당협위원장도 공모에 참여할 수 있다. 김상현기자 shkim@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