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타워] 대구·경북 도시재생 공동협의체를 만들자

  • 백승운
  • |
  • 입력 2018-09-13   |  발행일 2018-09-13 제31면   |  수정 2018-09-13
[영남타워] 대구·경북 도시재생 공동협의체를 만들자
백승운 사회부 특임기자 겸 한국스토리텔링연구원 팀장

최근 발표된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대구·경북 15개 지역이 선정됐다. 대구는 북구 산격동·복현1동, 중구 포정동·동산동, 달서구 죽전동, 서구 비산동, 남구 이천동 등 7곳이다. 경북은 총 8곳이 뽑혔다. 경주시 황오동을 비롯해 구미시 원평동, 포항시 송도동·신흥동, 영천시 완산동, 경산시 서상동, 의성군 의성읍, 성주군 성주읍이 포함됐다.

예산도 시쳇말로 ‘폭탄’ 수준이다. 대구는 7개 지역에 5년간 국비 680억원 등 총 5천120억원이 투입된다. 이를 통해 노후 주거지 개선과 골목상권 활성화, 청년일자리 창출, 주민공동체 회복 등 도시 재활성화 사업을 추진한다. 경북은 무려 사업비 1조3천556억원을 확보했다. 예산규모로만 봐도 대형 사업이다. 기초지자체 입장에서는 미래 먹거리를 창출할 수 있는 종잣돈이 마련된 셈이다. 지금부터는 이 종잣돈을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관건이다. 무엇보다 도시재생 사업의 밑그림을 잘 그려야 할 때다.

하지만 선정지역을 꼼꼼히 들여다보면 다소 걱정스럽기도 하다. 도시재생 노하우가 있는 지자체가 극히 드물기 때문이다. 엄밀히 말하면 대구 중구가 유일하다. 중구는 지난 10여년 동안 근대골목을 콘셉트로 도시재생 노하우를 쌓았다. 도심 공동화 현상으로 침체되었던 지역을 재생사업을 통해 되살려냈다. 재개발과 재건축이 아닌 도시재생을 통해 행복지수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보였다.

도시재생은 체계적인 전략이 필요한 사업이다. 섣불리 예산만 쏟아부었다가는 좌초하기 십상이다. ‘따라하기식의 사업’은 필패하고 만다. 그만큼 노하우가 필요한 사업이 도시재생이다.

이런 의미에서 설익은 몇가지 제안을 덧붙인다. 먼저 대구·경북 도시재생 공동협의체 구성을 제안한다. 이번에 선정된 15개 지역의 지자체가 실무협의체를 만들어 노하우를 공유하길 바란다. 협의체를 통해 정보를 교환하고 지혜와 힘을 모은다면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사업초기 불필요한 시행착오도 줄일 수 있다. 대구 중구의 축적된 노하우를 공유한다면 금상첨화다. 인접한 지역은 사업을 연계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할 수 있다.

동시에 대구경북 한뿌리상생위원회에서도 도시재생을 함께 다루길 제안한다. 지난달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권영진 대구시장은 ‘대구경북 한뿌리상생위원회 총회 및 공동선언식’에서 광역경제권 발전계획을 수립해 함께 실천하기로 했다. 단순한 협력과 상생을 넘어 경제공동체 실현을 천명했다. 향후 구체적인 방안은 대구·경북 한뿌리상생위원회에서 윤곽이 나올 듯하다. 도시재생도 대구·경북이 충분히 함께 보조를 맞춰볼 만한 사안이다. 지역 특화 문화관광산업과 일자리 창출, 역외 인재 유출 등 한뿌리상생위에서 다루는 내용이 도시재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시재생 전담 공무원을 두는 방안도 지자체마다 고민해 볼 문제다. 이번에 선정된 도시재생은 길어야 5년사업이다. 5년 이후에는 국비지원은 미지수다. 결국은 자생력을 가지는 방법밖에는 없다. 도시재생은 장기전이다. 재개발이나 재건축처럼 눈에 두드러지는 변화가 단기간에 잘 나타나지 않는 사업이 도시재생이다. 짧은 시간에 결과를 기대하기보다 긴 안목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이 때문에 도시재생을 전담할 전문성 있는 공무원이 필요하다. 공무원 조직은 인사순환으로 인해 1년도 안돼 담당자가 바뀌는 일이 허다하다. 새로 업무를 맡은 공무원은 업무파악만 수개월 하다 또 교체된다. 행정의 연속성을 기대할 수가 없다. 물론 외부 전문업체나 출자·출연기관의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사업 전체를 컨트롤하고 외부업체가 잘하고 있는지 감시하고 견제할 수 있는 전문 공무원이 있어야 한다. 사업을 총괄하고 넓게 볼 수 있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공무원이 도시재생사업에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선정된 대구·경북 15개 지역은 지금이 가장 중요한 시점이다. 초기에 어떤 그림을 그리느냐에 따라 사업성패가 달렸기 때문이다. 설익은 제안들이지만 고민해 보길 바란다. 덧붙여 대구·경북에서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롤모델이 나오길 기대한다.
백승운 사회부 특임기자 겸 한국스토리텔링연구원 팀장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