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시·경북도 보건당국이 메르스 비상방역체계를 구축하고 확산 방지에 나섰다. 지역엔 서울의 60대 메르스 확진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한 사람은 없으나 간접(일상)접촉자가 6명인 것으로 질병관리본부에서 통보해 옴에 따라 이들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일상접촉자는 메르스 확진자와의 접촉 가능성이 낮아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또 출국 제한 등 이동의 자유를 제한하지도 않는다. 다만 잠복기간 관할 보건소가 유·무선 연락을 통해 수동감시 형태로 관리한다.
9일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의 일상접촉자는 내국인 3명, 외국인 1명 등 모두 4명이다. 메르스 확진자와 같은 항공기에 탑승한 이들은 대구시내 4개 기초자치단체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 방역대책반은 이들의 거주지 보건소를 통해 모니터링을 시작했다. 일상접촉자는 메르스 최대 잠복기인 14일 동안 노출 3·5·7·10일째와 14일째 날에 메르스 의심증상이 발생하면 담당자에게 연락하도록 하는 수동감시 대상자다. 시 방역대책반은 매일 관할 보건소에서 대상자를 상대로 증상 발현 여부를 확인할 방침이다.
대구 외국인 1명 포함 4명 모두 지역 거주
경북 2명 중 1명은 인천공항 세관 근무자
관할 보건소 유·무선 연락 통해 수동감시
의심증상 관찰즉시 격리수용 핫라인 구축
또 대책반은 질병관리본부 긴급상황실, 일선 보건소, 대구시보건환경연구원,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의료기관 등 유관기관과 24시간 핫라인을 구축했다. 응급의료기관에 상황을 전파하는 한편 중동지역을 방문하거나 확진자와의 접촉이 의심되고 메르스 유사 증상이 관찰되는 경우 즉각 격리·신고하기 위해서다. 일상접촉자를 비롯해 메르스 의심 증상을 보이는 사람을 발견할 경우 즉각 경북대병원(5병상)과 대구의료원(10병상)에 구축·운영 중인 국가지정음압치료병상에서 신속하게 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의료기관의 병상 준비사항을 점검하고, 개인보호구 및 방역물자 확보 현황을 파악하는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경북도도 2명의 일상접촉자를 질병관리본부로부터 통보 받고 관리에 나섰다. 다만 이 중 1명은 인천공항 세관 근무자로, 주소지는 경북이지만 실제 근무지와 주거지는 인천인 것으로 파악됐다. 또 다른 1명은 경북에 주소지를 둔 실거주자다. 경북도는 우선 관내 거주 일상접촉자를 수동감시자로 분류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경북도는 일선 시·군과 함께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 38개(음압 5개·일반격리 33개), 지역거점 격리병상 15개(음압 6개·일반격리 9개)의 준비 상황을 점검하는 등 메르스 확진자 발생에 대비하고 있다.
시·도 보건당국 관계자는 “중동국가 방문 후 2주 이내에 발열을 동반한 호흡기 증상 등 메르스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말고 반드시 보건소나 국번 없이 ‘1339’에 신고해야 한다. 평소 일상생활에서 감염병 예방 수칙을 준수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진식기자 jins@yeongnam.com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진식

임호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