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황-조’ 황금 트리오 오늘밤 금메달 이끈다

  • 유선태
  • |
  • 입력 2018-09-01   |  발행일 2018-09-01 제2면   |  수정 2018-09-01
韓-日 첫 아시안게임 결승전
‘손-황-조’ 황금 트리오 오늘밤 금메달 이끈다

김학범 감독이 이끄는 한국 U-23 축구 대표팀은 1일 오후 8시30분 인도네시아 보고르 파칸사리 스타디움에서 일본과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남자 축구 결승전을 갖는다. 한국과 일본이 아시안게임 결승무대에서 만난 것은 역대 처음이다. 두 팀은 이번 대회에서 나란히 5승1패의 성적으로 결승전에 올랐다. 객관적인 전력에서 한국이 일본에 앞선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역대 아시안게임에서도 일본을 일방적으로 제압했다. 2014 인천 아시안게임까지 7번 만나서 6번을 이겼다. 그러나 한일전은 객관을 인정하지 않을 때 많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국은 대회 2연패와 최다 우승(5회)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까.

◆정신무장으로 승리 자신하는 한국팀

한국은 이번 대회 강력한 우승후보 가운데 하나다. 그러나 예선에서 졸전을 벌였다. 방심한 결과다. 약체인 말레이시아에 1-2로 패했고 키르기스스탄전에선 간신히 1-0으로 이겼다. 조 2위로 가시밭길을 걷게 된 한국은 녹아웃스테이지에 들어가면서부터 제 모습을 보여주기 시작했다. 16강과 8강전에서는 이번 대회 우승후보 가운데 하나였던 이란과 우즈베키스탄을 차례로 꺾었다. 4강전에선 ‘박항서 매직’을 앞세운 돌풍의 팀 베트남마저 제압하며 결승에 올랐다. 김 감독은 “선수들이 힘들고 어려운 길을 차례로 격파하며 올라왔다. 사실 완전히 지쳤다”면서 “한 번도 쉬운 경기 없이 어려운 팀들을 꺾고 올라오면서 탈진 상태까지 갔지만 이걸 버티는 힘이 정신력이다. 마지막까지 그 정신력을 놓지 않겠다”고 말했다. 선수들은 “한일전에 지면 비행기에서 뛰어내려야 한다” “한국까지 헤엄쳐 가자”는 장난섞인 말로 필승결의를 다졌다.


역대 대결서 7번 만나 6번 승리
객관적 전력 앞서지만 방심 금물
金 감독“화끈한 공격으로 승부”


모리야스 하지메 감독이 이끄는 일본은 ‘2020 도쿄 올림픽’을 대비한 21세 이하 팀이다. 대학 선수도 포함돼 있을 정도로 객관적인 전력에서는 강하지 않다. 토너먼트 3경기를 모두 1골 차이로 이기고 올라왔다. 일본은 조별리그에서 베트남에 0-1로 패했지만 결승에 진출했다. 넘어질 듯 넘어지지 않고 일어나 결국 골을 넣어 승리했다. 일본은 상대를 압도할 정도로 큰 임팩트는 없지만 상대가 틈을 보일 때 골을 넣을 능력은 지니고 있다. 일본의 수비는 약점으로 꼽히고 있다. 일본은 조직적인 수비를 하지만 수비수 개인이 지닌 힘과 속도는 좋은 편이 아니다. 베트남이 일본을 잡을 때도 박항서 감독이 이 점을 파고 들었다. 모리야스 하지메 감독은 “한국은 당연히 강한 팀"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힘든 결승이 될 것”이라며 “선수들이 경기장에서 자신들의 100%를 보여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황-손-조의 역할이 중요하다

김 감독은 베트남과의 4강전처럼 화끈한 공격력으로 일본전 승부수를 띄운다는 생각이다. 그 중심에는 황의조(감바 오사카)가 있다. 아시안게임 전만 해도 황의조는 논란의 대상이었다. 김학범 감독의 제자였던 탓에 인맥 축구 논란에 휩싸였다. 하지만 황의조는 실력으로 이겨냈다. 바레인과의 조별리그 1차전에서 해트트릭을 작성했고, 1-2 충격패를 당했던 말레이시아와의 2차전에서도 골을 터뜨렸다. 이란과 우즈베키스탄, 베트남전에서도 골을 넣었다. 총 9골. 당연히 논란은 없어졌다. 황의조는 한일전의 키플레이어다. 20명 명단 가운데 홀로 일본 J리그에서 뛰고 있다. 대표팀 합류 전까지 8골(총 14골)로 J리그 득점 3위를 달리고 있었다. 그만큼 일본 축구를 잘 안다.

손흥민의 역할도 중요하다. 손흥민은 이번 아시안게임에서 기존 성인 대표팀과는 다른 행보를 보였다. 이번 대회에서 4강전까지 1골 3도움의 기록이 말해주듯 골을 넣는 주연에서 공수를 조율하고 득점을 돕는 조연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특히 1992년생으로 동갑내기 친구인 황의조와 찰떡 호흡을 보이고 있다. 이번 대회 두 선수는 세 골이나 합작했다.

한국의 모든 위기는 수비 불안에서 비롯됐다. 6-0 대승을 거둔 바레인전에서도 한국은 적잖은 실점 위기를 맞았다. 수문장 조현우(대구)가 없었다면 무실점으로 끝나지 않았을 경기다. 말레이시아전에선 수비 실책으로 2골을 헌납했고, 우즈베키스탄전에서도 3골이나 내줬다. 실점 이상의 득점이 나왔기에 망정이지 그러지 않았다면 한국은 조기 탈락했을 가능성이 높다. 조현우는 아직 무릎 부상에서 완전히 회복된 것은 아니지만 공격진영에 비해 불안한 수비진의 마지막 관문을 잘 걸어 잠그고 있다. 그가 있을 때와 없을 때의 존재감은 완전히 다르다.

유선태기자 youst@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스포츠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