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 대학 대표공약
공영형사립대에 높은 관심
지역살리고 사학수준 높일
확실한 대안으로 평가받아
정책완성도 높여 안착기대
![]() |
박종문 교육팀 부장 |
공영형사립대는 정부가 희망하는 사립대를 대상으로 협약을 맺고 운영경비를 지원하면서 학교 운영에 참여하는 방식이 유력해 보인다. 검토되고 있는 여러 가지 방안 가운데 운영경비의 50% 지원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를 통해 해당 공영형사립대는 등록금과 교육여건을 국립대 수준으로 향상시켜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고질적인 문제인 대학 서열화, 우수학생 수도권 집중이라는 병리현상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렇게 되면 우수학생이 굳이 많은 비용을 들여가며 서울에 있는 대학에 가지 않아도 되고, 지역대학을 졸업하고도 희망하는 직업을 구할 수 있으니 지방침체도 막을 수 있다.
이 공영형사립대에 대해 사립대에서는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사실상 사립대를 정부가 마음대로 간섭하거나 지배권을 무력화시키려는 것 아니냐는 시선이 많다. 또 계획은 거창하지만 여느 교육정책처럼 정권이 바뀌면 유야무야돼 정부 정책을 따라가는 대학만 결과적으로 손해를 보는 과거를 답습할 것이라는 현실적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대구대를 비롯해 지역대학들도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정부 정책이 드러나지 않은 만큼 내부 검토를 계속하면서 정부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정부는 당초 2019년부터 공영형사립대를 시행하겠다고 한 만큼 적어도 한두 달 내 정부안이 수면 위로 부상할 가능성이 많다. 지역 대학 관계자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정부가 현재 공영형사립대 예산 확보를 위해 기획재정부와 협의 중이고, 정부안도 마무리단계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우리나라 공영형사립대의 입안자로 알려진 임재홍 한국방송통신대 교수는 지난 5월 말 대구대에서 열린 포럼에 참석해 공영형사립대에 인건비의 50%를 지원할 경우 일반대학은 학교당 평균 199억, 전문대는 64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했다. 이에 따라 관건은 정부가 얼마만큼의 예산을 확보하느냐가 될 전망이다. 최소한 2천억원 이상 확보한다면 정책 추진의 명분은 확보했다고 보면 된다. 그렇더라도 공영형사립대가 갈 길은 첩첩산중이다. 안정적 예산 확보를 위해서는 가칭 공영형사립대 육성법 같은 법률 제정이 필요하고, 학교 운영 방식과 같은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도 사립대의 공감대를 끌어내야 하는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지방분권 차원에서 보면 공영형사립대는 지역을 살리고 지역사립대를 업그레이드하는 확실한 대안이다. 정부가 지역 사학 발전을 위해 대규모 재정을 투입하는 흔치 않은 선택이다. 때문에 정부 재정당국과 국회를 설득시키기가 만만찮을 수 있지만 지방분권시대에 꼭 필요한 정책대안이라는 판단이다. 공영형사립대는 획기적인 고등교육정책인 만큼 완성도를 높여 과거 용두사미된 정책을 답습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박종문 교육팀 부장
[Copyrights ⓒ 영남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