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평가제냐 절대평가제냐 대학성적 잣대도 논란

  • 박종문
  • |
  • 입력 2018-04-25 07:38  |  수정 2018-04-25 07:38  |  발행일 2018-04-25 제11면
경쟁심 조장·성적순 줄세우기로 상대평가제 한계 이르렀다 여론
창의·융합·협업능력 갖춘 인재상
절대평가제 필수불가결 주장도
어느 한쪽 결정시 혼란만 부추겨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상대평가로 하느냐 절대평가로 하느냐를 두고 답 없는 논쟁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대학 학부생의 성적 평가 방법을 두고도 상대평가제냐, 절대평가제냐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두 평가방법 모두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객관화·표준화·형평성 등이 중시되면서 지금까지는 상대평가제가 대세를 이어왔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시대적 요구 인재상이 달라짐에 따라 상대평가제는 한계에 이르렀다는 여론이 만만찮다.

◆상대평가제

상대평가제는 2004년 서울대가 교양과목에 도입한 이후 전 대학으로 확산하기 시작했다. 학교마다 비율은 다르지만 A·B·C·D·E학점으로 평가함으로써 학생성적의 비교가 용이하다. 또 통상 A·B학점을 70% 안팎으로 제한하고 있어 학점 퍼주기 논란을 불식시킬 수 있다. 대학원 입시나 기업 채용과정에서도 객관적인 잣대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대평가제도가 조기에 정착되고, 많은 대학으로 확산한 것도 이 같은 배경이 깔려 있다.

상대평가제는 이 같은 장점과 효용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질적인 면에서 문제의 소지를 안고 있다. 학생을 성적순으로 줄세우기 함으로써 소모적인 경쟁심을 조장한다는 점이다. 학생의 성취도와 관계없이 상대비교에 의해 우열이 가려짐으로써 대학 성적 평가방법으로 타당하냐는 근본적인 물음표가 따라 다니고 있다. 대학 수업에서 실질적으로 중요한 것은 학생이 얼마나 성취했는가인데 상대평가제로는 이를 알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절대평가제

그런 면에서 절대평가제는 이상적인 성적평가제로 판단되기도 한다. 학생 개개인의 수업성취도에 따라 성적을 부여함으로써 실질적인 평가가 가능한 제도다. 이 제도는 또 교수에게 전문성과 자율성을 부여함으로써 교과목 특성에 맞게 수업도 진행하고 평가도 적절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절대평가제는 또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인재육성에 필수불가결하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요구하는 인재상이 창의적 인재, 융합적 사고를 가진 인재, 협업능력이 뛰어난 인재인데 지금과 같은 상대평가제로는 육성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절대평가제가 도입될 경우 교수의 임의적 기준에 의해 성적이 가려지고, 과거 학점 인플레와 같은 혼란이 반복될 것이라는 반론 또한 만만찮다. 지역대학 관계자는 “현재 국가장학금 지급 대상자 선정을 비롯해 여러 가지 대학평가 때 교육부에서는 성적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를 중시하고 있어 절대평가제 도입은 어려운 문제”라면서 “현 상대평가제를 흔들 경우 예상치 못한 후유증과 혼란이 빚어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상대+절대 평가제

하지만 이 관계자는 “교육부가 대학 자율 향상 차원에서 성적평가에 대한 자율성을 부여한다면 상대평가제와 절대평가제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학생성적 평가 방법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서 “예를 들어 4차 산업혁명이 필요한 인재 육성을 위해 창의적이고 융합적·협업적 성격이 필요한 과목은 절대평가제를 도입하는 등 과목 특성에 따른 평가방법 도입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편 경북대 민주화교수협의회(의장 채형복 교수)는 오는 27일 교수회 대회의실에서 ‘상대평가와 학습권: 누구를 위한 평가인가’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한다. 박종문기자 kpjm@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종문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