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극단적 선택·분노조절장애가 만연한 한국 사회

  • 인터넷뉴스팀
  • |
  • 입력 2018-04-19   |  발행일 2018-04-19 제31면   |  수정 2018-04-19

급변하는 사회·경제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자살 등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이들이 늘고 있어 문제다. 타인에게 해가 되는 충동적인 행동을 하는 분노조절장애도 증가하는 추세다. 이런 시점에서 경북도가 의료기관과 연계한 자살 예방사업을 중점적으로 펴기로 해 주목된다. 2016년 경북도의 자살자는 773명이었고, 자살률은 인구 10만명당 28.8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국내 평균치 25.6명보다는 3.2명,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국가 평균 12.1명보다는 무려 16.7명이나 많다. 불명예스럽게도 한국의 자살률은 OECD 회원국 중 부동의 1위를 10여년째 유지하고 있다. 자살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연간 6조5천억원에 이른다는 분석도 있다.

이처럼 경북도의 높은 자살률은 전국의 두 배가량인 노인자살률이 보여주듯 인구의 고령화, 단독가구의 증가, 경제적 어려움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2016년 경북도내에서는 116명이 농약 음독으로 생을 마감했으며, 이 중 74%가 노인이었다. 경북도는 타 시·도보다 두 배 이상 높은 농약 음독 비율 등을 바탕으로 농약 안전함 보급,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 병원 확대 등의 정책을 펴고 있다. 지난해 30곳에서 올해 36곳으로 확대 지정된 병원에서는 전문 정신상담을 제공하고, 복지기관과 연결해 응급 시 치료비 부담, 생활고 해소 지원을 펴고 있다. 또한 지역 주민들을 교육시켜 자살예방을 위한 게이트키퍼 역할을 하도록 돕고 있다. 한국의 정신건강 서비스가 대도시 병원시설에 집중돼 농촌이나 오지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그래서 경북도와 같은 농촌지역의 자살률이 높게 나오고 있다. 그런 만큼 경북도의 이러한 자살 예방사업은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요즘 자살 못지않게 사회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증세가 분노조절장애다. 최근 있었던 땅콩회항이나 물벼락 갑질 논란으로 더욱 이슈가 된 이 정신질환은 지난해 진료자가 5천986명이나 된 것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분석한다. 더구나 2015년 5천390명, 2016년 5천920명 등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의료계뿐만 아니라 지자체에서도 관심을 갖고 대책을 세워나가야 하는 상황이다. 작금 한국의 정치·경제·사회상의 빠른 변화속도를 감안하면 극단적 선택에 대한 광범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자살을 단순히 ‘생명경시 풍조’나 ‘물질주의 팽배’ 현상 탓으로만 보지 말고 국민 개개인이 세상의 변화를 잘 극복할 수 있도록 관련 기관과 단체는 노력해야 하겠다. 장기적으로는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도 필요하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