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연쇄 지진 경북 동해안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 인터넷뉴스팀
  • |
  • 입력 2017-11-17   |  발행일 2017-11-17 제23면   |  수정 2017-11-17

지난해 경주에 이어 포항에 사상 둘째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이 한반도를 흔들면서 이제 남의 일만이 아니게 됐다. 두 번이나 지진 공포를 경험한 경북 동해안은 지진 트라우마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우리는 이제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에 살고 있지 않은 만큼 국가적 지진 대응책 마련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당장 예고되고 있는 여진에 대한 단기적 대책은 물론 경주·포항 지진보다 더 큰 지진을 전제로 한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대비책도 강구하고 실행해 나가야 한다. 특히 원전 집중지역인 동해안은 내진율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한편 이 지역에 걸쳐 있는 활성단층에 대한 연구·조사 또한 정밀하게 추진돼야 마땅하다.

가장 시급한 일은 포항과 그 인근 지역의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이다. 사실 내진설계가 최소 6.0 규모 이상으로 돼 있는 원전은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아파트를 비롯한 대형 건물들은 위험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돼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포항의 이번 지진 피해를 보면 5.4 규모에 아파트와 학교 건물이 통째로 금이 가거나 붕괴 조짐을 보였다. 이보다 더 큰 규모의 지진이 강습한다면 생각만 해도 아찔할 뿐이다. 내진 설계가 제대로 되지 않은 기존의 건물에 대한 보강공사는 한시도 미뤄선 안된다.

특별재난지역 선포 등 중앙정부 차원의 대책과 지원이 우선돼야 하겠지만 안전대책은 경북도가 앞장서서 마련해야 한다. 재난 컨트롤 타워는 지방정부가 돼야 더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지난 세월호 사고 당시 청와대와 중앙정부가 왜 허둥댔는지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현장을 모르면 제대로 된 대응책이 나오기 어려운 건 상식이다. 내진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예산은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최우선으로 집행돼야 한다. 하지만 경주 지진 이후 정부가 내놓은 대책은 너무나 굼떠서 위험하기 짝이 없다. 경북지역 학교의 내진율 100% 달성이 2034년 이후에야 가능하다면 그때까지 학생들을 위험 속에 방치하란 말인가. 동남권 지역 활성단층에 대한 조사도 빼놓을 수 없다. 이것들을 앞당길 경북도의 역할이 기대된다.

지진이 일상의 공포로 다가왔다. 무엇보다 조기 예보와 함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훈련이 체계적으로 실시돼야 한다. 지난해 경주 지진 이후 마련된 정부 차원의 대응책이 신속하게 추진되도록 박차를 가해야 할 시점이다. 안전불감증은 자연재난에 인재를 더하는 최대의 적이다. 경주·포항 지진은 상존하는 강진 위험에 걸맞은 상시적이고 총체적인 지진 대책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