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환경도시 향해 달리는 대구 .4] 신기후체제

  • 임호
  • |
  • 입력 2017-10-12   |  발행일 2017-10-12 제11면   |  수정 2017-10-12
“정부보다 한 발 먼저…” 대구시 환경정책 강화 강력한 의지
20171012
기후변화는 우리 곁으로도 다가와 있다. 지난여름 가뭄으로 대구시민의 식수원인 운문댐 저수율이 낮아져 바닥을 드러내기도 했다. 모든 국토가 사막화해 식수를 구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진 차드 현지인들의 모습(사진 아래). <영남일보 DB>


환경 전문가들은 기후변화의 위험으로부터 지구를 지키기 위해 남은 시간은 3년뿐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올해 세계 일부 지역에선 역대 최고 기온을 뛰어넘었고, 지구 온도는 2014년부터 3년 연속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2020년까지 영구적 온실가스 감축이 이뤄질 경우 지구의 평균 온도가 되돌릴 수 없는 기후변화를 야기하기 직전에 멈출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노력이 없다면 남태평양의 아름다운 섬나라 대다수는 물속으로 사라지고 수많은 인류가 기후변화로 목숨을 잃게 된다.

2015년 12월 프랑스 파리서 기후변화 협정 체결돼
權시장, 사람·자연·산업 공존‘환경비전’발표 호응
시민 체감하도록 온실가스 감축목표 10% 높게 잡아
신재생에너지 보급률·대중교통 수송분담률도 상향
나무 1천만본 더 심고 신천 1급수로 끌어올리기로
비산업 부문 컨설팅으로 시민참여형 기후대책 추진



2010∼2012년 동아프리카 지역에 든 가뭄(25만명 사망)과 2013년 필리핀을 덮친 태풍 하이얀(7천800명 사망) 등의 자연재해로 30만명에 이르는 사람이 죽었다.

이 같은 위기를 막기 위해 2015년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파리기후변화협정(이하 파리협정)이 이뤄졌다. 이는 교토의정서 공약기간이 종료되는 2020년 이후 적용될 신(新)기후체제(new climate regime)에 대한 대응책 일환이다.

파리기후협정은 과거 교토의정서와 비교해 지속 가능한 강제성을 지니고 있다.

교토의정서는 온실가스 감축대상국가가 37개 선진국에 국한돼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파리협정엔 전 세계 195개 모든 회원국이 참여한다.

파리협정에 따라 회원국들은 1990년을 기준으로 지구의 온도가 2℃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온실가스를 감축하기로 했다. 자발적 감축이지만 195개 회원국이 서로를 감시하는 만큼 사실상 강제성을 띤다고 볼 수 있다.

또 국가별 온실가스 감축 목표 아래 꾸준히 배출량을 줄여 금세기 말엔 온실가스 배출량을 ‘0’으로 만들게 된다.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감축목표로 배출전망치 대비 37% 감축하기로 했다. 이 기준대로라면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온실가스 8억5천100만t 중 37%에 해당하는 3억1천500만t을 줄여야 한다.

문제는 현재와 같은 에너지 소비 형태로는 목표달성이 쉽지 않다는 것.

대구시는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정책보다 한 발 더 앞서 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지난 6월 제22회 환경의 날 기념식에서 권영진 시장이 발표한 ‘환경 비전’이 시발점이 됐다.

권 시장은 당시 대구의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사람과 자연, 산업이 공존하는 도시를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온실가스 감축이 환경 비전의 핵심인 셈이다.

새 환경 비전은 시민의 건강과 생활을 위협하는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수질, 악취 등 각종 공해에 무제한적으로 대응하는 야심 찬 계획이다.

우선 2020년까지 예산 1조349억원을 들여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 1천830만t 중 30%인 540만t을 줄이기로 했다. 당초 20% 감축이 목표였으나 시민이 깨끗한 대기 환경을 체감할 수 있도록 목표 수준을 더 높였다.

또 온실가스나 악취 등 대기오염 문제에도 적극 대응키로 했다. 같은 기간 현재 6%에 머물러 있는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12%로 끌어 올리고, 대중교통 수송 분담률을 29.7%(2015년 기준)에서 35%로 높인다.

2021년까지 대구 전역에 나무 1천만 그루를 심는 계획도 눈에 띈다. 예산 7천757억원이 들어가는 사업이다. 많은 나무와 풍부한 녹지 공간은 도시환경 개선에 큰 효과를 가져오고 시민 삶의 질도 그에 비례한다는 게 시의 판단이다. 1996년부터 ‘푸른 대구 가꾸기’ 사업을 통해 모두 3천465만 그루의 나무를 심은 경험과 성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2025년까지 신천 수질을 1급수로 끌어 올린다는 목표도 빼놓을 수 없다.

이와 함께 시민참여형 기후변화 대응대책도 추진한다. 가정(2만3천566가구), 상가(332곳), 학교(55곳) 등 비산업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도록 컨설팅도 진행 중이다.

탄소포인트제를 운영해 올해 말까지 30만3천779세대의 가정과 상업시설 등에서 사용하는 전기·수도·도시가스 사용량 감축을 유도하고 있다.

녹색생활·녹색교통·녹색교육 등 3개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대구기후환경네트워크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이미 일부 분야에서는 당초 계획을 앞서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대구시는 지역 25개 공공부문 폐기물배출시설에서 최근 3년간(2015~2017년) 목표 할당량 온실가스 110만6천963t 중 4만7천여t을 감축할 계획이다.

신경섭 대구시 녹색환경국장은 “신음하는 지구를 살리는 것은 나와 내 후손의 행복한 삶을 위한 것이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선 각 가정에서 전기를 아끼고,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작은 한 걸음부터 시작해야 한다”며 “대구시도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적극 노력해 사람과 자연, 산업이 공존하는 도시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획/특집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