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성교의 직론직설] TK 정치의 미래

  • 인터넷뉴스팀
  • |
  • 입력 2017-08-18   |  발행일 2017-08-18 제22면   |  수정 2017-08-18
TK정치가 다시 살아나려면
생활 수단으로 삼는 생계형
권력에 줄서기 바쁜 좀비형
한자리 하려는 출세지향형
과감하게 청산해야 한다
[서성교의 직론직설] TK 정치의 미래

문재인정부 출범 100일을 맞는 TK의 심정은 자못 착잡하고 혼란스럽다. 지역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이 70%에 육박한다는 게 믿기지 않는다. 대선 때 지지율이 20%였는데 그간 무슨 일이라도 벌어진 걸까. 대통령으로서 나라 발전을 위해 더 잘해 주기를 바라는 기대감이 큰 것일까. 아니면 조사과정에서 ‘침묵하는 다수’의 의견은 배제된 결과일까. TK의 만년 여당이라는 자유한국당의 지지도도 민주당의 절반에 불과하다. 대구지역 12명 국회의원의 구성을 보면 정치적 분열상이 일목요연하게 드러난다. 이런 추세라면 내년 대구시장 선거도 여당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크다.

대한민국 현대사의 주도 세력이었던 TK는 정치적으로 위기에 봉착했다. 정권을 잃은 현재의 상실감도 크지만 미래는 더 암담하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보수의 분열, 미래 지도자의 부재가 그 원인이다. TK와 PK의 정치적 분열이 뼈아프다. 정권 교체 주기설에 따라 10년 뒤 다시 정권을 되찾을 수 있을까. 현재로서 그 가능성이 전혀 없다. 정권의 실수에 기댄 반사이익만으로 집권은 불가능하다. 현재의 정당과 인물로는 미래가 참담하다. 보수 정당의 혁신 활동은 전혀 임팩트가 없다. 터널 비전에 갇혀 상황의 엄중함을 전혀 깨닫지 못하고 있다. 단적으로 자유한국당이 10대들의 절대 금기어에 올라 조롱의 대상이 되고 있다.

TK라는 용어가 일견 폐쇄적 지역주의(regionalism)나 지역 연고주의(nepotism)로 잘못 오해될 수도 있다. 그렇지 않다. 이 지역이 지녀왔던 정치적인 기개와 포부, 자부심, 역사 발전에 기여한 역할을 되새겨 보자는 뜻이다. 7세기 중반 삼국을 통일하고 한반도 한민족 문화의 원형을 창출했던 자부심이 있었다. 멀리 갈 것도 없이 한국 현대사의 주역은 TK였다. 일제시대 국채보상운동의 발상지였고, 치열한 독립운동의 핵심 기지였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70여년 동안 40년 이상 주체세력이었다. 대한민국 산업화와 근대화는 TK를 빼고는 논할 수 없다.

혁명이든 쿠데타였든 박정희 전 대통령의 목적은 분명했다. 그의 비전은 조국근대화와 민족중흥이었다. 경제발전을 넘어 민주국가, 복지국가, 민족통일이 그의 3대 목표였다. 그의 저서 ‘국가와 혁명과 나’에 고스란히 새겨져 있다. 그의 역사적인 사명은 달성 방식은 다르지만 이 시대에도 여전히 당면한 과제다. 한 정치인의 평가대로 그는 현대사의 거대한 산과 같은 존재다. 우국충정의 진정성, 청렴성, 헌신적 열정, 그리고 영민함과 과단성 같은 지도자로서의 덕목과 능력은 보수와 진보 공히 높이 평가하고 있다. 다만 그 뜻과 능력을 계승하지 못한 후대의 잘못이 클 뿐이다.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고, 위기 속에서도 기회가 있다. 혼돈과 좌절을 넘어 절망을 희망으로 바꾸어야 한다. 그것이 TK의 역사적 정신이고 시대적 역할이다. 새로운 시대를 위한 치열한 도전의식, 코페르니쿠스적 발상의 전환, 패러다임의 변화, 혁신을 위한 ‘창조적 파괴’가 일어나야 한다. 새로운 인물이 필요하다. 정치를 생활의 수단으로 삼는 생계형 정치인, 소신 없이 권력에 줄서기 바쁜 좀비형 정치인, 한자리하려는 출세지향형 정치인은 과감하게 청산해야 한다.

반면에 나라와 국민을 위한 애국지사형 정치인, 원대한 포부를 지닌 비전의 정치인, 교양과 문화를 지닌 품격있는 정치인, 세계지도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글로벌 지도자를 키워내야 한다. 어차피 문재인정부를 끝으로 산업화와 민주화 세력은 역사적 소명을 다한다. 새로운 패러다임의 미래 정치, 그것은 준비하는 자에게 현실로 다가온다. TK에서 그 시작의 단초가 열리길 기대해본다. 바른정책연구원 원장, 정치평론가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