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원전해체센터, 방폐장 있는 경북에 오는 게 맞다

  • 인터넷뉴스팀
  • |
  • 입력 2017-06-20   |  발행일 2017-06-20 제31면   |  수정 2017-06-20

원전 고리 1호기가 19일 0시를 기해 영구정지에 들어갔다.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고리 1호기 영구정지는 탈핵국가의 출발점”이라며 “에너지 정책을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의 에너지 정책 전환에 따라 신규 원전 건설도 백지화된다. 수명이 완료되는 원전의 재가동은 없을 전망이며, 재가동 논란을 빚어왔던 월성 1호기도 이달 말쯤 영구정지가 유력해졌다.

고리 1호기 폐로(廢爐)를 계기로 원전해체산업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 건립 가능성도 높아졌다. 원전해체센터는 지난해 6월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결과 경제성이 낮게 나와 사실상 백지화됐다. 하지만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라 원전해체센터 건립에 대한 재논의가 불가피해진 상황이다.

국내에 가동 중인 원전 가운데 2030년까지 수명이 완료되는 곳은 12기에 이른다.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집계한 영구정지된 세계 원자력발전소는 160개. 고리 1호기를 추가하면 161개다. 영구정지된 원전 중 해체를 완료한 곳은 19기뿐이다. 영국 컨설팅회사 딜로이트는 2030~2049년 원전해체 시장의 규모를 185조원으로 전망했다. 원전해체산업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는 이유다. 정부는 고리 1호기의 해체 비용을 6천437억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여기에 사용후핵연료 처리, 건물 해체 작업 등에 들어가는 비용을 고려하면 1조원이 넘는다는 게 전문가의 분석이다.

원전해체산업이 미래의 먹거리로 인식되고 있는 터라 원전해체센터 유치전도 다시 가열될 조짐이다. 현재까지는 경북·부산·울산의 3파전 양상이다. 부산은 해체되는 고리 1호기가 가까이 있다는 논리로 원전해체센터 유치전에 뛰어들었으며, 울산은 원전해체와 관련된 기업 인프라를 강점으로 꼽고 있다.

하지만 원전해체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고난도 작업이다. △해체 준비 △사용후핵연료 냉각·반출 △방사능 오염물질 제거 및 시설물 철거 △부지 복원의 4단계를 거쳐야 한다. ‘즉시 해체’ 방식으로 하면 15년, ‘지연 해체’는 무려 60년이 걸린다. 고리 1호기는 ‘즉시 해체’ 방식으로 폐로될 예정이다. 특히 ‘즉시 해체’엔 방사성 폐기물 처리 시설이 충분히 확보돼야 한다. 우리가 원전해체센터의 경북 유치를 주장하는 이유도 경주에 방폐장이 있는 까닭이다. 게다가 국내 원전 25기 중 12기가 경북에 몰려 있다. 어차피 해체할 원전도 경북에 가장 많다는 얘기다. 정부의 합리적인 판단을 기대한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