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 회식 있습니까?

  • 인터넷뉴스팀
  • |
  • 입력 2017-05-23 08:06  |  수정 2017-05-23 08:06  |  발행일 2017-05-23 제25면
[문화산책] 회식 있습니까?
김한규 <시인>

크든 작든 함께 모여서 일하는 조직에서는 회식을 한다.

물론 직장의 성격이나 상황에 따라 형식이나 내용도 여러 가지다. 어떤 작업 단계를 맡아서 짧은 기간에 같이 일하는 사람들은 회식이 만남이나 이별이 되는 경우가 많다. 붙박이지 않기에 조직문화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대신에 불안이 지배한다. 나라경제의 상황이 갈수록 좋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도 회식은 기대되는 것이 있다. 대체로 남자들에게 그 기대의 8할은 술이다. 물론 일을 마치고 날마다 마시는 이도 있지만 모이는 것은 또 다른 분위기가 있으니까. 작업과정의 어려움도, 팀원들과의 소통도 같이 마시면서 해소될 수 있다는 기대가 있다.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기대 섞인 회식이 시작되고 무르익는다.

많은 이야기가 오간다. 오해가 풀리기도 하고 다른 오해가 생기기도 한다. 논쟁이 일어나기도 하고 의기가 투합되기도 한다. 시간이 갈수록 술에 점점 관대해진다. 예상보다 빈병이 늘어나도 오늘은 그만큼 분위기가 좋다고 여긴다.

이처럼 이른바 ‘회식문화’는 생활의 방식 속에 깊숙이 안착되었다. 다만 아직 직장생활을 해보지 않은 청년들에게는 꺼내기 미안한 말이긴 하지만.

변화의 추세도 있는 것 같지만, 술이 매개의 중심이 되는 회식문화가 사실은 남자들의 전유물이라 해도 틀린 말은 아니다. 현진건이 일찍이 “몹쓸 사회가 왜 술을 권하는고?”라고 자조적으로 말했지만, 그만큼 술이 남성주의적 향락과 놀이 문화에 크게 공헌해왔기 때문이다.

어떤 공동체의 성원이 되고 이어가는 과정에 술과 모임과 회식이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좋은 작용도 있다. 그러나 통념에만 기대면 버릇이 되는 부작용도 있다. 어떤 이는 회식을 핑계 삼아 꼭 필요하지 않은 술자리를 즐기기도 한다. 회식 자리가 무르익으면 ‘우리가 남이가’식의, 자본주의의 체제 밖이라는 낭만성을 뒤섞기도 한다. 그러나 그 증여의 이미지는 사실 환상일 경우가 크다. 뒷날 숙취를 달래며 흐린 기억을 되살릴 때 현실은 또 냉혹하게 앞에 버티고 있지 않은가.

힘든 노동을 서로 위로하는 자리는 좋다. 다만 결과가 그 의도를 배신할 때 자본주의 체제는 의기양양해진다. 버릇에 되먹여지는 버릇을 그 체제는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후유증이 없는 즐거운 자리, 오늘 회식 있습니까?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문화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