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행 들어간 ‘J노믹스’…최고 수혜株 잡아라

  • 노인호
  • |
  • 입력 2017-05-20 07:45  |  수정 2017-05-20 07:45  |  발행일 2017-05-20 제11면
20170520

문재인 대통령의 새 정부 출범 이후 주식 투자자들의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사상 초유의 대통령 탄핵과 보궐 선거로 이어진 정치적 혼란이 마침표를 찍은 데다 대통령 취임 이후 1~2년차에 주식시장이 높은 성장률을 보인 통계 등이 있었기 때문이다. 케이프투자증권과 금융투자업계가 13대부터 18대까지 대통령 재임 기간에 코스피 등락률을 분석한 결과, 임기 1년차의 코스피 수익률은 23.18%, 2년차는 26.18%로 집계됐다. 평균 20% 이상의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것이다. 여기에 올 1분기 국내 상장사들의 실적이 기대 이상으로 나온 것도 기대감을 높이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전체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는 것은 확실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종목이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는 것은 아니다. 대선 이전 특정 후보와의 인연으로 등락이 반복되던 대선테마주와 달리 새 정부가 어떤 사업에 집중하느냐에 따라 수혜를 볼 수 있는 종목과 그렇지 않은 종목으로 명암이 엇갈릴 수 있다. 물론 새 정부가 집중하는 정책 관련 종목이라고 해서 무조건 혜택을 보는 것은 아니다. 전문가들은 “새롭게 출범하는 정부마다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정책이 있기 때문에 수혜를 누리는 분야는 있기 마련이다. 하지만 수혜분야 안에서도 종목별로 명암이 엇갈리는 만큼 투자는 본인이 면밀하게 분석해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13∼18대 대통령 재임 1∼2년차
코스피 수익률 평균 20% 웃돌아
정부 정책따라 종목별 명암 갈려

4차 산업혁명·내수 진작 등 관련
文 대통령 대선공약 테마주 주목
부동산·교육분야는 위축 가능성

수혜주 옥석 가리기 과정은 필수
성과 드러낸 정책 위주로 투자를


◆수혜주 뭐가 있나

전문가들은 “문 대통령이 후보시절 내세운 주요 공약과 관련된 종목들이 수혜주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대표적인 것이 4차 산업혁명, 내수활성화, 미세먼지 감축 관련 종목 등이다. 더욱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인수위원회 없이 당선과 동시에 취임, 곧바로 임기가 시작되면서 공약이 곧바로 정책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금융시장에 반영되는 속도도 이전 정부보다 빠를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4차 산업혁명 관련주는 반도체, IT, 인터넷 관련 종목 등이 대표적이다.

문 대통령은 후보 시절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를 설치하고 인프라 구축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공약했던 만큼 반도체, IT, 전기차, 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 관련주가 새 정부 수혜주가 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내수 진작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만큼 내수주에 대한 기대도 큰 상황이다.

당장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등 안정적인 일자리 만들기를 시작한 것과 임기 내 공공 부문 일자리 81만개를 만들겠다고 약속하며 제1호 업무지시로 일자리 위원회를 만드는 것의 배경에는 모두 내수경기 활성화가 깔려 있다.

수출만으로는 지금 같은 불경기를 해결할 수 없는 만큼 내수를 살려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소비자가 안심하고 지갑을 열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하는 것이 안정적인 일자리라는 것. 그런 만큼 일자리 문제가 해결 기미를 보이면 자연스럽게 내수가 살아나게 되고, 이는 내수주의 수혜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다 노동시간 단축 공약까지 현실화되면 유통, 레저·엔터, 의류 등 내수업종은 수혜를 보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가 안정되고, 노동시간까지 단축되면 여유시간을 즐길 수 있게 돼 콘도, 테마파크, 여행, 공연업이 직접 수혜를 입을 수 있고, 해외여행 증가 등으로 면세점도 매출 증가 등의 특수를 누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사드 관련 종목도 기대를 모으고 있다. 6월말로 예상되는 한미 정상회담에 이어 한국과 중국과의 관계도 개선될 경우 사드보복으로 손해를 봤던 화장품주, 롯데그룹주, 유통주, 엔터테인먼트 관련주 등도 반등할 수 있을 것이란 것이다. 사드 배치 논의가 본격화된 이후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피해가 현실화된 자동차 업계, 중국인 관광객 감소로 직접적인 타격을 입고 있는 면세점, 한류 연예인 출연 금지로 피해를 입은 엔터테인먼트주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종목은 벌써부터 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반등하는 분위기다.

남북경협주도 다시 빛을 볼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 취임 첫날이었던 지난 10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신원은 가격제한폭(29.78%)까지 오른 2천615원에 장을 마쳤다. 신원 우선주 역시 전 거래일보다 30% 오른 7만200원까지 치솟았다. 남북교류협력 사업이 재개될 것이라는 기대감 덕분에 남북 경협주가 큰 폭으로 오른 것이다. 신원뿐만 아니라 대북 송전주인 이화전기도 전거래일보다 21.61% 오른 484원에, 개성공단 입주 업체인 좋은사람들도 12.13% 오른 3천50원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문 대통령은 후보 시절 개성공단 가동을 재개하고 개성공단 규모를 6천611만여㎡(2천만평)까지 확장하는 등 다양한 남북 경협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물론 이날 일부 남북경협주의 경우 장초반 급등했다가 후반 하락반전했고, 북한이 새 정부 출범 4일 만인 14일 오전 5시27분 평안북도 구성 일대에서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하면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장세가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 우세하다.

하지만 통신주에 대한 전망은 엇갈렸다. 문 대통령이 기본료 인하 방침을 밝힘에 따라 통신사 영업이익이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는 측과 장기적으로 5G, 사물인터넷 등 성장가능성이 있는 만큼 긍정적이라는 분석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이 종목을 피하라

새 정부가 규제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는 투자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규제 강화로 관련 분야가 위축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매출감소 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리스크가 커질 수밖에 없다.

문 대통령이 후보시절 내건 공약을 기준으로 보면 부동산, 카드, 중·고교생 관련 교육주 등은 리스크가 커지는 종목이 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의 경우 문 대통령이 후보시절 대출 규제 강화, 전월세 상한제 도입 등 부동산 시장의 입장에서는 부정적으로 보이는 공약을 많이 내걸었다.

또 학교 서열화, 학력에 따른 차별 철폐 등을 밝히며 외국어고와 자율형 사립고 등의 폐지를 공약으로 내걸었던 만큼 중·고교 사교육 관련 업종도 전망이 밝지는 않다. 또 카드 업종도 가맹점 수수료 인하 공약을 내걸어 매출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투자 타이밍은 신중하게

정책테마주의 경우 실적 개선을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만큼 ‘묻지마 투자’에 가까운 대선 후보 테마주와는 차이가 있지만, 그래도 투자 속도 조절은 필수다. 수혜주 중에서도 옥석을 가려야 하는 것은 물론 핵심정책 위주로, 정책이 일정부분 성과를 낸 뒤 투자에 나서는 것이 좋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새 정부의 정책관련 주식은 단기적인 추격 매수보다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저축을 한다는 생각으로 비중을 늘려나가는 것이 좋다는 것. 특히 새 정부 초기 정책이 힘을 가지고 있지만, 야당들의 반대에 부딪히는 경우가 적지 않은 만큼 이러한 분위기 등을 고려해 투자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새 정부 정책테마주라는 이유만으로 투자를 결정할 것이 아니라 기존에 관심을 가지고 분석하는 종목 또는 평소 알고 있는 종목과의 연관성이 있는지를 보고 투자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또 정책테마주라는 이유만으로 투자를 해서는 안 되고, 해당 종목 자체만으로 충분히 투자매력이 있을 때 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문가들은 “성과를 보고 투자에 나서면 그만큼 투자수익은 줄 수 있지만, 그 대신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다”면서 “수혜주라고 투자하지 말고, 평소 관심있던 종목 중 수혜주와 겹치는 부분에 비중을 늘리는 게 좋다”고 말했다.

노인호기자 sun@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노인호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