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는 농약을 건강의 관점에서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농작물을 얼마나 많이 산출할 수 있느냐 하는 ‘효율성’의 관점에서 연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국민 건강과 관련된 연구는 많지 않다고 봅니다.”
지난 13일 충남 천안 단국대병원에서 만난 노상철 충남 농업안전보건센터장(단국대 의대 직업환경의학과 교수·사진)은 ‘효율성’이 아닌 ‘국민 건강’이란 관점에서 농약을 연구하고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 교수는 “현재 유통되고 있는 농약 중에서도 인체 독성을 가지고 있는 농약이 여전히 다수 존재한다”면서 “농촌진흥청으로부터 국내 등록허가를 받은 농약 유효성분 435개에 대해 발암성, 생식독성, 내분비계교란(환경호르몬), 잔류성 및 농축성에 대한 독성을 검토했더니, 77개의 유효성분이 하나 이상의 독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는 “이 결과는 농진청에서 등록허가가 난 농약이더라도 사람에게 안전하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것”이라며 “음용 등 단기간의 노출로 나타날 수 있는 급성중독은 정부의 관리·감독 강화로 예방하고, 농민들처럼 직업적·장기적으로 농약에 노출돼 나타나는 만성중독은 농약에 관한 위험성을 인지할 수 있게 교육·홍보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하지만 노 교수에 따르면 이와 관련된 정부 지원은 아주 미미하다. 그나마 전국 6개뿐인 농업안전보건센터 가운데 농약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곳은 충남 농업안전보건센터가 유일하다. 반면, 선진국은 농약중독을 막기 위해 정부와 학계, 의료기관이 발 벗고 나서서 농약중독 예방과 종류별 사용법을 상시 교육하고 있다.
노 교수는 “농약 제조사가 제공하는 부족한 정보에 의지하는 현 상황이 개선되지 않으면 결국 피해는 농약을 사용하는 농민과 그 농산물을 소비하는 국민이 볼 것”이라고 경고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