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인구 소멸 위험성이 다른 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성군은 전국에서 가장 먼저 인구가 소멸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가임기 여성인구는 줄고 노인인구는 늘어나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20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황영철 의원이 한국고용정보원과 함께 2015~2016년 인구변화를 분석한 ‘한국의 지방소멸 위험지역 현황’에 따르면 대구는 올해 처음으로 인구쇠퇴주의단계로 진입했다.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 박사가 가임기 20~39세 여성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값인 ‘지방소멸위험지수’를 산출한 결과, 올해 7월 기준(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우리나라 20~39세 여성인구(689만8천명)가 65세 이상 인구(690만3천명)보다 줄면서 처음으로 0.999로 1.0 미만을 기록했다. 지수가 1.0 미만이면 인구쇠퇴주의단계, 0.5 미만이면 인구소멸위험단계에 속한다.
17개 시·도 가운데 지수가 1.0 이상인 지역은 서울(1.2), 경기(1.3), 세종(1.5) 등 7곳에 그쳤다. 대구는 지난해 7월 1.024에서 올해 7월 0.977로 떨어져 지수 1.0 미만에 새로 진입했다. 서울을 제외한 6개 광역시 가운데 1.0 미만인 곳은 부산(0.863)과 대구뿐이다. 경북의 지수는 지난해 7월 0.640에서 올해 7월 0.617로 더 떨어졌다. 아직 인구소멸위험단계에는 진입하지 않았지만, 위험성이 더 커졌다. 경북도내에서 0.5 미만으로 인구소멸위험단계에 진입한 시·군은 16곳으로, 17곳인 전남 다음으로 많았다. 의성군은 0.168로 전국 최하위였다.
김명은기자 drama@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