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청 신도시의 명암 ‘전남도청 이전(남악신도시)’서 길을 찾다

  • 진식
  • |
  • 입력 2015-11-02   |  발행일 2015-11-02 제5면   |  수정 2015-11-02
경북도청 신도시의 명암 ‘전남도청 이전(남악신도시)’서 길을 찾다
경북도청 신도시의 명암 ‘전남도청 이전(남악신도시)’서 길을 찾다
경북도청 이전 시기가 다가오면서 기대와 우려가 교차된다. 내년 2월 안동·예천지역으로 옮겨가는 경북도청 신청사 전경. <경북도 제공>

 

내년 2월이면 대구에 있는 경북도청이 안동·예천지역으로 이사를 간다. 경상감영 안동 대도호부(1599~1601년)가 대구부로 이전한 후 400여년 만에 다시 안동으로 옮겨가는 셈이다. 역사적으로 매우 큰 의미가 있는 것은 물론 경북의 위상과 역사를 재조명하는 새로운 출발점이 될 것이란 기대가 크다. 경북도청 신도시는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대 10.96㎢(331만5천400평) 부지에 2027년까지 인구 10만명이 거주하는 행정중심 복합형 자족도시로 건설된다. 경북 북부권의 성장 거점화를 목표로 △행정타운 조성 △도시 활성화 △신도시 완성이라는 3단계로 추진된다. 1단계는 올 연말까지 4.77㎢(144만2천900평) 부지에 주민 2만5천명을 수용할 수 있는 행정타운과 유관기관 및 주거 용지, 환경에너지종합타운 등을 조성한다. 2단계(2016~2020년)에선 3.39㎢(102만5천400평)에 주거와 상업시설, 종합병원, 복합환승센터 등을 건립해 인구 4만4천명을 유입하는 게 목표다. 도시 활성화 단계다. 신도시를 완성하는 3단계(2021~2027년)에는 2.8㎢(84만7천평)에 주거 용지와 산업시설, 특성화대학, 테마파크 등 도시 자족시설을 갖춘다. 3만1천명을 끌어들여 총 10만명의 자족도시를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넘어야 할 산도 만만치 않다. 올해로 도청이전 10년째를 맞은 전남의 ‘남악신도시’ 사례로 본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의 명(明)과 암(暗)을 살펴봤다.



“산업·관광자원 시너지 기대”


남악신도시 들어선 이후 목포·무안 경제규모 급성장
국제공항 유치하고 도로망 사통팔달 “접근성 뛰어나”
경북신도시도 장밋빛…“첨단미래산업 유치에 날개”


◆도청이전 신도시의 ‘명’(明)

전남도청은 지금으로부터 꼭 10년 전인 2005년 10월 목포시 옥암·석현동과 무안군 삼향·일로읍 일대에 신청사를 짓고 둥지를 틀었다. 남악신도시 시대를 연 것이다. 지난 10년간 남악신도시는 많은 변화와 발전을 이뤘다. 광역교통망을 확충하면서 지역 간 균형발전을 이뤘고, 경제규모도 늘어나 지역발전에 긍정적인 효과를 냈다.

조상필 전남발전연구원 지역행복연구실장에 따르면 남악신도시는 전남도청을 중심으로 30㎢ 이내에 도로, 철도, 공항, 항만 등 교통수단 간 상호 연계를 통한 저비용·고효율 교통체계를 구축했다.

전남도청은 이전 이후 무안에 국제공항(2007년 11월)을 유치한 데 이어 광주와 무안을 잇는 ‘무안광주고속도로’(2008년 5월)를 개통했다. 이를 통해 광주시청에서 무안공항까지 걸리는 시간을 기존 50분에서 25분으로 단축했다.

또 영암과 순천을 연결하는 ‘남해고속도로’(2012년 4월)와 목포시 죽교동 북항과 고하도(신외항)를 연결하는 ‘목포대교’(2012년 6월)를 잇따라 개통하는 등 남악신도시의 접근성을 크게 개선했다.

경북도청 신도시 주변에도 내년 말 완공 목표인 동서4축 고속도로(상주~안동~영덕)와 동서5축 고속도로(세종시~안동) 건설, 중앙선 복선전철화 사업(충북 단양 도담~안동~영천) 등이 추진되고 있어 새로운 성장 거점 축을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남악신도시가 들어선 목포와 무안지역은 경제규모도 급성장했다.

2005~2011년 사이 목포시와 무안군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각각 연평균 6.4%와 8.9%의 증가세를 보였다. 목포시는 금융·보험업을 중심으로 2005년 2조2천억원에서 2011년엔 3조2천억원으로 늘었고, 무안군은 공공행정 및 교육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같은 기간 9천억원에서 1조5천억원으로 신장했다.

목포시와 무안군의 사업체 수도 2004년 2만2천774개에서 2013년에는 2만4천731개로 1천957개 늘었고, 종사자 수 역시 75만9천명에서 97만1천명으로 21만2천명 증가했다.

경북도청 신도시도 경북도교육청, 경북지방경찰청에 이어 유관기관단체 104곳이 이전하기로 했고, 대규모 산업단지를 조성해 백신·바이오 클러스터, 의료기기·신소재·정보기술(IT)융합 첨단미래산업 등을 유치할 방침이다. 여기다 안동과 예천엔 전통유교문화와 풍부한 관광자원을 갖추고 있어 지역발전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안동 원도심 空洞化 어쩌나”

목포시는 고령화 가속…인구도 2만6천명이나 줄어들어
안동 인구·상권 신도시로 이탈 전망…공동화 대책을
행정구역 통합 못하면 대중교통 요금·학교배정 잡음

◆도청이전 신도시의 ‘암’(暗)

남악신도시는 인근 지역의 인구를 흡수하면서 원도심의 공동화를 불러일으켰다. 무안군의 인구는 전남도청이 이전하기 전인 2004년 말 6만2천500명이었으나, 2014년 말에는 8만1천700명으로 1만9천200명 불었다. 전남도내 군 단위 지역에서 가장 높은 인구 증가세를 기록했다.

 

반면, 목포시의 인구는 같은 기간 24만1천700명에서 23만9천100명으로 2천600명 줄었다. 전남도청이 자리했던 광주시 동구의 인구도 이 기간 1만7천600명 감소했다.


무안군은 30~40대 인구가 7천명 늘었고, 덕분에 15세 미만 인구도 4천명 증가했다. 하지만, 목포시는 30세 미만 인구는 2만2천100명 줄고, 50세 이상 인구가 2만5천400명 늘어 고령화를 가속화 했다. 경북도와 안동시·예천군이 풀어야 할 숙제다.

조상필 실장은 “예천보단 안동의 원도심 인구와 상권이 도청 신도시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원도심을 활성화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남악신도시는 행정구역을 통합하지 못해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했다. 행정구역 간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한 탓에 학교 배정 문제가 불거졌고, 대중교통 운행 및 요금, 상하수도 요금·관리체계, 각종 조세 부과액(주민세 등), 환경개선부담금 및 쓰레기처리비용 부과기준 등에서 이원화 문제가 발생했다.

특히 남악신도시와 목포 옥암지구 내 초등학생의 중학교 배정 문제로 학부모와 학생으로부터 큰 반발을 사고 있다. 옥암지구에 사는 초등학생은 단일 학군인 목포시내 중학교로 배정을 받는다. 이로 인해 10분 거리인 남악지구의 중학교를 놔두고 1시간 이상 통학해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조 실장은 “남악신도시는 목포시와 무안군의 이중 협의로 행정절차를 거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걸려 갖가지 문제를 초래했다. 주민 자발적 행정구역 통합이 필요한 이유”라며 “만약 행정구역 통합이 불가능하다면 경북도의 주도 아래 안동시와 예천군이 사전에 MOU를 체결해 행정구역 간 경계를 정하지 못해 발생하는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소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남악신도시는 당초 대중교통과 도보권을 우선해 교통계획을 세우는 바람에 공용 주차장 부족에 따른 불법 주정차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이에 조 실장은 “경북도청 신도시는 주차장 공동 이용제 및 블록 단위 주차장 공급 등 주차공간을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진식기자 jins@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획/특집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