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연금 개혁과 관련해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22일 야당에 ‘2+2(대표+원내대표) 회담’을 제안했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이 이를 거절했다.
김 대표는 이날 재보선이 열리는 ‘인천서-강화’ 현장선거대책회의에서 “공무원연금개혁 특위 활동기간이 이제 9일밖에 남지 않았는데, 지금 여러 조짐을 볼 때 야당은 약속한 (본회의 처리) 날짜를 지키지 않을 가능성이 보인다”며 이 같이 제안했다. 김 대표는 유세 지원 현장에서도 기자들과 만나 “여야가 합의해 놓고 합의 시한을 지키지 않는 것은 매국적 행위”라며 거듭 회담을 촉구했다.
이에 새정치연합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공무원연금개혁특위 야당 간사인 강기정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 대표의 제안은 그간 공무원 당사자와 국회가 일관되게 지켜온 사회적 합의 정신을 정면으로 거스르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실무기구와 특위 활동 기한이 ‘9일밖에’가 아닌 ‘9일이나’ 남았다”며 “새누리당은 친박 비리게이트 국면 전환을 위해 실무기구를 깨는 2+2 회담을 제안할 것이 아니라, 실무기구와 특위를 통해 사회적 합의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공무원)연금은 단발성 정치적 사안과 본질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딜을 할 수 없는 성격”이라며 “김 대표가 상당히 위험한 제안을 한 것 같다. 자칫하면 실무기구도 깨지고, 특위도 파행을 겪을 수 있는, 궁극적으로 공무원연금개혁을 원점을 돌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여당의 2+2 회동 제안 배경은 여야 지도부가 만나 협상 과정에서 걸림돌이 있으면 제거하는 동시에 특위와 실무기구에도 조속히 합의안을 만들 것을 요구하는 일종의 ‘압박’수단도 된다는 설명이다.
특위 여당 간사인 새누리당 조원진 의원(대구 달서병)은 이날 영남일보와의 통화에서 “2+2 회담에서 특위와 (실무)기구가 다루는 내용을 종합해 결론을 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실무기구와 특위만 쳐다보면 안된다. 야당 대표와 만나 어떤 문제가 걸림돌인지 대화하면 풀리지 않겠느냐는 그런 이야기”라고 설명했다.
김정률기자 jrkim82@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