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무원연금개혁 특별위원회의 주호영 위원장(가운데)과 조원진 여당 간사(왼쪽), 강기정 야당 간사가 12일 국회에서 열린 전체회의에서 의사일정 등을 논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
진통을 겪어온 국회 공무원연금개혁특별위원회가 12일 첫 회의를 열었다. 위원장 및 여야 간사를 선임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물론 여야의 시각차가 극명한 상황이라 위원회의 향후 진로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특위 위원장에는 새누리당 주호영 정책위의장(대구 수성을), 여야 간사에는 새누리당 조원진 의원(대구 달서병), 새정치민주연합 강기정 의원(광주 북갑)이 각각 선임됐다.
주호영 위원장은 이날 인사말에서 “연금특위는 국민에 대한 무한 봉사자인 공무원의 적절한 노후 보장을 확보하되, 변화된 사회환경에 맞춰 연금제도를 개선해 국가재정 안정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특위는 출범 첫날부터 한 차례 공방을 주고받았다. 여야가 연금개혁특위와 함께 활동을 시작하는 국민대타협기구에 대해 다른 입장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주 위원장은 이날 오전 한 라디오 방송에서 연금특위와 대타협기구의 관계 설정에 대한 질문에 “국민대타협기구에서 합의가 되면 가장 좋고, 합의가 되지 않으면 않는 대로 입법권을 가진 국회가 어떤 결정을 하겠다는 그런 설정”이라고 말했다. 입법기관인 국회에 무게중심을 둬야 한다는 의미였다.
야당 간사인 강 의원이 이에 즉각 반발했다. 그는 “여야는 대타협기구가 잘 운영되도록 도와줘야 할 것 같다”며 “(주 위원장의 방송 인터뷰는) 대타협기구 무용론 내지는 무력화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여당 간사인 조 의원은 “(주 위원장의 발언은) 대타협기구에서 빨리 합의안을 만들어야 한다는 취지로 생각한다”며 “대타협기구에서 이해 당사자들이 다 들어갔고, 전문가들도 들어간 만큼 시간이 짧지만 최선의 합의를 이끌어 내야겠다”고 말했다.
김정률기자 jrkim82@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