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금융용어, 쉬운 우리말·한자어로 고친다

  • 유선태
  • |
  • 입력 2013-05-02   |  발행일 2013-05-02 제13면   |  수정 2013-05-02
당발송금 → 해외로 보내는 송금, 징구하다 → 받다

시민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금융전문용어와 한자어가 쉬운 우리말 또는 한자어로 바뀐다.

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소비자의 불편과 불완전 판매 가능성을 줄이고자 금융거래 표준약관에 들어가는 용어 가운데 114개를 쉬운 말로 바꾸기로 했다.

‘기재한 금액과 상위(相違)할 경우’ 등 어려운 한자어 36개는 ‘기재한 금액과 서로 다를 경우’ 등으로 쉬운 우리말로 대체하거나 쉽게 풀어쓰기로 했다. 뜻이 모호하거나 오해하기 쉬운 용어(46개)도 개선한다. 예를 들면 ‘당발송금’은 ‘해외로 보내는 송금’ ‘원가’(元加)는 ‘이자를 원금에 더하다’로 각각 풀어쓴다.

또 전문용어(30개)는 일반인이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바꾸고, 대체할 용어를 찾기 어려운 경우는 괄호 속에 설명을 적어 넣도록 했다. ‘사적화의’라는 말 옆에는 ‘채권자가 자율적으로 부도처리 유예 및 채무자와 채무이행조건 협의’라는 설명을 붙이는 식이다. ‘징구하다’는 ‘받다’로 바꿔쓰는 등 권위적인 말이나 옛 법률용어(2개)도 바꾼다.

금감원은 “앞으로 각 금융권역별 협회에서 표준약관을 개정할 때 새 용어를 쓰도록 하고 다음 달까지 홈페이지(www.fss.or.kr)에 ‘국민제안’ 코너를 만들어 어려운 용어를 계속 바꿔나가겠다”고 밝혔다.

유선태기자 youst@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